Linux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구조 정리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리눅스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 트리(tree구조)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은 루트이다, 그 밑에는 하위디렉터리가 차지 디렉터리 아래에 있는 디렉터리 = 하위 디렉터리 부모 디렉터리 = 현재 디렉터리 위의 디렉터리 - “..”으로 표시 루트 디렉터리는 최상위이기 때문에 나머지 디렉터리는 항상 상위 디렉터리가 존재한다. 작업 디렉터리 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 또는 현재 디렉터리라고한다 현재 디렉터리는 “.”기호로 표시 현재 디렉터리의 위치는 pwd로 확인 홈 디렉터리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터리로 처음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지정 홈 디렉터리는 “~”기호로 표시한다. : host03 디렉터리 계층 구조 경로명 파일시스템에서 ..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세서 : CISC(특징), RISC(특징), 싱글코어 프로세서, MCU, GPU, ARM 학교에서 들은 내용을 이곳에 정리해두었다. CISC(특징), RISC(특징) CISC는 MCU개발의 초기 개념으로 설계되었으며 MCU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합 명령어를 사용 RSIC 방식은 CISC의 복합명령어 방식의 단점으로 복잡한 설계방식과 지연시간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간단한 명령어들을 조합하여 효율적인 계산방식으로 설계 대표적인 CISC프로세서는 인텔과 모토로라 프로세서를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RISC프로세서는 MIPS와 ARM프로세서를 둘 수 있다. 구분 CISC RISC CPU introduction 명령어 개수가 많고 그 길이가 다양하며, 실행 사이클도 명령어마다 다르다. 명령어길이는 고정적이며, 워드와 데이터 버스 크기가 모두 동일, 실행 사이클도 모두 동일 회로구성 복잡 단순 .. shell & kernel && Shell Script 특별한 변수 커널이란 커널은 “Memory Resident”특징을 제외하곤 아주 평범한 C program이다. 쉘 많은 프로그램들의 메모리 교동 정리를 해주는 역할을 한다. 유틸리티중 하나로 쉘을 1차적인 일부는 Job Control Shell script & Shell script의 특별한 변수 #!/bin/bash if[! -d bak]; then mkdir bak fi cp *./log bak 위의 코드를 해석해보자! Shell script 기본문법 #:코멘트, echo:출력, read:입력 nano test.sh #!/bin/sh read NAME echo "hello, $NAME" ./bin/sh를 실행하면 NAME이라는 변수로 값을 입력 받는다. donghyeon라고 입력하면 Hello, donghyeon.. I/O redirection 먼저 I/O는 input/output 단어의 약자이다. cat —help > result.txt cat --help라는 명령어를 통해 나타난 메시지들을 result.txt에 새로 넣겠다는 명령어이다. error를 >하기 위해서는 2> 를 해주어야한다. 만약 >>를 쓴다면 덧붙여 쓰겠다는 뜻이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