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구조 정리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 리눅스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 트리(tree구조)
  •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은 루트이다, 그 밑에는 하위디렉터리가 차지
  • 디렉터리 아래에 있는 디렉터리 = 하위 디렉터리
  • 부모 디렉터리 = 현재 디렉터리 위의 디렉터리 - “..”으로 표시
  • 루트 디렉터리는 최상위이기 때문에 나머지 디렉터리는 항상 상위 디렉터리가 존재한다.

작업 디렉터리

  • 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 또는 현재 디렉터리라고한다
  • 현재 디렉터리는 “.”기호로 표시
  • 현재 디렉터리의 위치는 pwd로 확인
  • 홈 디렉터리
    •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터리로 처음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지정
    • 홈 디렉터리는 “~”기호로 표시한다. : host03

디렉터리 계층 구조

  • 경로명

파일시스템에서 디렉터리 계층 구조에있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 표시

경로명에서 각 경로를 구분하는 문자로 “/”을 사용

경로명에서 가장 앞에 있는 /은 루트 디렉터리를 뜻하지만, 경로명 중간에서는 /는 구분자로 표시된다.

맨 앞의 /는 루트 디렉터리이다, 중간에 있는건 구분자

  • 절대 경로명

경로가 항상 루트 디렉터리부터 시작하여 표시된다.

반드시 /로 시작한다

특정 위치를 가르키는 절대 경로명은 항상 동일하다.

상대 경로명

경소가 현재 디렉터리에서부터 시작하여(기준으로) 표시된다

“./”, “../”. “/” 와같은 것들로 시작이 가능

상대경로는 현재 위치가 어디인가에 따라 경로명이 달라진다.

example

pwd
/home/user1

cd /boot ==>절대경로
pwd
/boot

pwd/home/user1
cd bot ==>상대경로
cd ./boot ==>상대경로

pwd
/home/user1/boot